농민들과 철새 ‘아름다운 동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1-27 00:06
입력 2013-11-27 00:00

군산 십자들녘·해남·창원 등 추수뒤 볏짚이 먹이·쉼터로

전북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십자들녘. 한달여 전까지만 해도 황금 물결이 일렁이던 이곳은 이달 초순부터 철새들의 낙원으로 변했다. 금강하구를 낀 이 들녘은 80여만 마리의 각종 철새가 찾아와 겨울을 나는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 이달 초순부터 천연기념물인 큰고니와 개리, 청둥오리, 가창오리들이 찾아와 장관을 이룬다.

이미지 확대
십자들녘이 철새 낙원이 된 것은 농민들이 수확량 일부를 철새들에게 나눠주는 생태계 보호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농민들은 2002년부터 환경부, 지자체 등과 생물다양성 관리계약을 맺고 12년째 철새들과 아름다운 동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철새에 의한 농가 손실을 정부와 자치단체가 보상하는 일종의 계약 재배다.

철새도래지 주변 농민들이 철새들과 수확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 소득도 올리는 상생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10여년 전 군산지역 농민들이 철새들의 겨울 먹잇감으로 벼를 일부 수확하지 않고 남겨두는 것으로 시작됐다. 십자들녁 200여 농가들은 매년 10월 철새들에게 먹이와 쉼터를 제공하기 위해 추수한 뒤 볏짚을 사료용으로 팔지 않고 남겨둔다. 십자들녁 430㏊ 가운데 290㏊에 이른다. 볏짚에 남은 볍씨와 낙곡들은 철새들이 모진 겨울을 버텨내는 귀중한 양식이 된다. 빈 논에는 물을 채워 쉼터로 제공한다. 보리를 재배, 철새들이 겨울에도 파란 싹을 뜯어먹을 수 있도록 한다.

농민들의 이 같은 활동은 소득증대에도 큰 몫을 한다. 우선 농민들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는 친환경재배를 한다. 여기서 생산된 친환경쌀은 40㎏ 기준으로 시세보다 1만원을 더 받는다. 볏짚은 4000㎡당 20만원씩을 받는다. 조이철(75) 십자들녘 생물다양성관리지역 협의회장은 “자연과 인간들이 공존 공생할 방안을 찾다 보니 철새들은 먹이와 쉼터를 얻고 농민들은 소득이 높아지는 상생효과를 톡톡히 얻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해남군도 2002년부터 볏짚 존치(107농가 200㏊)와 보리·밀을 재배하는 경작관리(200여농가 240㏊) 사업을 한다. 김경만 해남군 환경관리계장은 “볏짚을 땅에 그대로 놓으면 비옥화되고, 보리나 밀 등도 철새들이 먹고 남은 것을 수확할 수 있어 참여 농가들이 매년 10% 정도 는다”고 말했다.

천연기념물인 흑두루미 등 90여종 1만마리의 겨울철새가 찾는 전남 순천만은 2005년부터 400여 농가가 참여한 가운데 볏짚 존치 330㏊, 쉼터조성 4㏊ 등 334㏊를 관리한다. 지난해 농민들에게 1억 6000여만원을 지급했다.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주남저수지 인근 주민들도 해마다 가을걷이가 끝나면 철새 먹이용으로 보리를 재배한다. 창원시는 해마다 5억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168㏊다. 창원시는 또 주남저수지 바로 옆 시 소유 논과 텃밭에 벼와 고구마를 심어 수확한 볍씨 12t, 고구마 3t을 저수지 인근 논밭에 뿌려놓는다. 내년 2월까지 매일 160㎏씩 뿌려줄 예정이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3-11-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