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협동조합 키워드는 베이비붐 세대·강남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2-03 00:18
입력 2013-12-03 00:00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년 살펴보니

지난해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1년간 서울에서 885개의 협동조합이 생겨났다. 하루 평균 3.7개로 그야말로 열풍이다. 이사장은 남성이 696명(78.6%)이며 평균 연령은 50세다. 베이비부머가 제2의 인생설계 차원에서 협동조합 설립을 주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2일 서울시가 발표한 협동조합 설립 통계에 따르면 평균 조합원 수는 15명이고 12곳은 100명 이상이었다. 평균 출자금은 1917만원이다.

자치구 중에는 강남구가 96개로 가장 많은 협동조합이 들어섰다. 이어 서초구(69개), 마포구(64개), 영등포구(58개), 종로구(57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242개(27.3%)로 가장 많았다. 교육·서비스업이 143개(16.2%),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가 73개(8.2%) 등 순이었다. 유형별로는 사업자 협동조합이 466개로 52.7%를 차지했다.

시는 이달에 모범 운영 협동조합 20∼30곳의 사례를 묶어 책자로 낼 예정이다. 최동윤 경제진흥실장은 “내년에는 조합 설립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협동조합판로 조성, 제도 개선 등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홍보나 교육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성과 퇴직자, 취업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등의 대안으로 부상했지만 뿌리내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시가 230곳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는 협동조합 운영원리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53.2%는 홍보, 마케팅 등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기태 한국협동조합연구소장은 “성공적인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을 위해서는 조합원 교육을 통해 이해를 높여야 한다”며 “협동조합 원칙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12-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