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째 축사에 몸살 앓는 하동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2-14 01:35
입력 2014-02-14 00:00

양돈장 수질오염·악취 고통 200여가구 주민 고통 호소

청정한 농촌지역 곳곳이 오염시설인 축사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13일 경남도와 하동군에 따르면 경남 하동군 북천면 서황리 중촌·기봉·서황·남포 등 4개 마을 200여가구 주민들은 마을 인근의 대규모 양돈장인 활천농장에서 나오는 악취와 수질오염으로 20년 넘게 고통을 겪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활천농장은 1989년 김해시에서 옮겨 온 뒤 시설을 계속 확장, 현재 8만 6580㎡의 부지에 16개 동을 갖추고 돼지 2만여마리를 키우는 경남지역 최대 규모의 기업형 양돈장이다.

마을 주민들은 농장에서 나는 악취 등으로 고통이 심하다고 호소했지만 군이 농장 증개축 허가를 계속하는 바람에 청정한 환경을 망쳐 놓았다고 주장한다.

활천농장은 최근 도의 축사시설 현대화 지원사업을 통해 저리 융자금 15억원과 자부담 3억 7500만원으로 기존 돈사 8개 동을 새로 짓기 위해 군에 건축 허가를 신청했으나 군은 민원조정위원회에서 불허가 결정을 했다. 농장은 이에 불복, 도에 행정심판을 청구했고 오는 26일 판정이 날 예정이다.

주민들은 “축사를 대대적으로 추가하면 앞으로 또 수십년 동안 악취와 수질오염 등의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어 더 이상 건축을 허가해선 안 된다”며 양돈장 이전 등을 요구하고 있다.

영호남 경계지역인 경남 함양군 함양읍 죽림리에도 봉동㈜이 기업형 양돈단지 건립을 추진, 마을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군에 따르면 봉동은 8만 5409㎡에 17개 축사시설을 지어 3만여마리의 돼지를 키우겠다고 지난달 17일 군에 허가 신청했다가 군에서 불허가 방침을 정하자 10일 스스로 취하했다. 업체는 법적으로 미비한 내용 등을 보완한 뒤 다시 허가를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죽림리 6개 마을과 인근 전북 남원시 인월면 2개 마을 주민들은 축사건립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대책위는 청정지역에 대규모 축사가 들어오면 악취와 수질오염이 발생할 게 뻔하다며 계획이 백지화될 때까지 활동하기로 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4-02-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