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순천만 폐쇄 한달… 지역경제 ‘휘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2-25 00:00
입력 2014-02-25 00:00

주변상가 70% 영업 중단

조류인플루엔자(AI)를 예방한다며 전남 순천만을 폐쇄한 지 한 달이 지나자 지역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순천만은 한 해 300만명이 찾지만 방학과 연휴인데도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겨 급기야 지역 상인들이 순천만 폐쇄 철회를 요구하는 청원운동을 펼치고 있다.

24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월 22일부터 전북 고창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가 소멸될 때까지 순천만자연생태공원은 관광객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전국 철새 도래지 중 가장 먼저다. 이후 환경부에서 철새도래지의 관광객 출입 제한을 권고하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선택적으로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자 순천만 주변 30여개 상가들은 직격탄을 맞았고 순천역과 아랫장 등 관광객이 많이 찾는 숙박업소와 음식점 등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순천역 주변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모(54)씨는 “방학이면 철도 ‘내일로’를 이용하는 대학생과 주말을 맞아 찾아온 외지인들로 북적거렸는데 순천만 폐쇄 조치 이후 손님이 뚝 끊겼다”며 힘들어했다.

이에 따라 지역 상인들은 순천만 폐쇄 철회를 촉구하는 청원서에 서명을 받고 있다. 이들은 “순천만 출입이 제한되면서 주변 상가 70%가 영업을 중단한 상태”라며 “조류 전문가 등 국내외 학계에서 철새가 AI의 원인이 아니라는 증거를 제시하는데도 순천만을 무작정 폐쇄한 것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방역 조치 잘못을 철새에 덮어씌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환경단체에서도 철새 모이 주기 운동을 재개했고 순천만을 개방한다고 해서 관광객이 철새와 접촉할 일은 없는 만큼 지역 상인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도 폐쇄 조치를 철회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청원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이날 시민단체와 상인 등 22개 민간 단체가 참여한 순천만 예방 대책 자유토론회를 열고 폐쇄구간별 대책을 별도로 수립하기로 했다.



권오복 순천만보존과장은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철새들이 번식지로 이동하고 있어 지금보다는 피해가 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방역 구역 강화와 개방 지역으로 나눠 지역 상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순천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4-02-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