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대변인 내정 뒤 공모 논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7-04 00:00
입력 2014-07-04 00:00

市 안팎서 “코미디 가깝다” 냉소

유정복 인천시장 체제가 출범했지만 경제부시장과 대변인을 임명하는 과정이 아이러니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시 정무부시장 직제를 경제부시장으로 바꾸는 것은 유 시장의 대표적 공약으로 시 부채가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정무적 기능에 중점을 둔 정무부시장보다는 부채 감축과 재정 건전화 등 경제정책에 전문성을 갖춘 경제부시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경제부시장 임명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지난해 12월부터 시행된 안전행정부의 지방별정직 공무원 인사규정에 따라 공모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인사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논란을 낳고 있다. 상당수 광역자치단체는 시장·도지사가 부시장·부지사 인사도 뜻대로 할 수 없느냐고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충남도에서는 공모 절차 없이 허승욱 정무부지사가 지난 2일 취임하고 업무를 시작했다.

인천시는 그러나 이 인사규정이 유 시장의 안행부 장관 시절 만들어진 것이어서 무시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시는 지난 2일자로 경제부시장 모집 공고를 냈다.

공모를 거쳐 경제부시장이 결정되더라도 인사청문회 격인 인천시의회 인사간담회를 거쳐야 하기에 업무 시작까지는 두 달가량 소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유 시장은 취임 뒤 6개월이 13조원에 달하는 부채 감축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경제부시장 공석이 장기화되면 부채 줄이기 전략의 실질적인 가동 시기가 상당기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시 대변인 인사는 묘한 양상을 띠고 있다. 유 시장은 지난달 25일 장관 시절 자신의 정책보좌관이었던 우승봉(41)씨를 대변인으로 내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대변인직 역시 개방형 공모 대상이어서 2일자로 모집 공고를 냈다. 이 때문에 우 내정자는 시청에 출근하지도 못하고 공모 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이 같은 사정으로 시 안팎에서는 “대변인을 이미 내정한 상태에서 공모하는 것은 코미디에 가깝다”는 냉소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4-07-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