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간판스타 마른오징어의 굴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7-24 01:01
입력 2014-07-24 00:00

관광객 소비 줄어… 41억어치 재고

경북 울릉도의 특산물 중 으뜸으로 치는 마른오징어가 남아돌고 있다. 지난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도서 지역인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마른오징어 소비도 덩달아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23일 울릉군에 따르면 현재 울릉수협 및 개인 냉동 창고에는 마른오징어 10만 2000축(1축은 20마리)이 쌓여 있다. 울릉수협 소속 어민과 상인들이 지난해 생산한 마른오징어 총 40만축 가운데 재고분 6만 5000축과 올해 생산된 3만 7000축 등이다. 이들 물량을 현금으로 환산할 경우 41억원에 이른다. 이 같은 재고분은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10여년 만에 가장 많은 양으로 알려졌다. 반면 산지 가격은 지난해보다 10% 이상 떨어졌다. 지난해 이맘때는 1축당 5만 1000원에 팔렸으나 현재는 4만 6000원에 거래된다.

요인은 울릉도 관광객 감소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 들어 이날 현재 관광객은 1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3만여명에 비해 35%(7만 7000명) 정도 줄었다. 이 때문에 울릉 지역 오징어 소상인과 어업인들이 자금난에 허덕일 뿐만 아니라 올해 출어 준비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오는 9월부터 시작될 올해 오징어 위판 가격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최수일 울릉군수는 이날 해양수산부를 방문해 마른오징어 재고분을 정부 비축 물량으로 추가 수매해 줄 것을 건의했다. 또 울릉군은 휴가철을 맞아 섬을 찾는 방문객 등을 대상으로 마른오징어 소비 촉진 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특히 다음달 6일부터 사흘간 울릉읍 저동리 일원에서 제14회 울릉도 오징어축제를 개최한다.

김경학 군 해양수산과장은 “울릉 지역 어민과 상인들이 마른오징어를 팔지 못해 도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면서 “무엇보다도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울릉도 오징어 연간 어획량은 2009년 5000t 이후 많이 감소하는 추세다. 2010년 2897t, 2011년 3585t, 2012년 1984t, 지난해 1774t이었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4-07-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