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음성, 중부내륙철 역사 놓고 ‘불화’
수정 2014-08-20 04:15
입력 2014-08-20 00:00
이천 “원안대로 장호원에 건설” 음성 “더 안전한 감곡에 설치를”
19일 이천시 등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애초 중부내륙선 112역사(가칭)를 이천시 장호원읍 노탑4리와 충북 음성군 감곡면 왕장5리 경계지역에 설치하는 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
이 지점은 경기와 충북의 경계로, 군도 22호인 성주로를 사이에 두고 역사와 주차장은 장호원 노탄4리에, 정거장은 양쪽 마을에 걸치도록 계획됐다. 철도공단은 당시 인구가 많은 장호원읍 주민들을 위해 역사 주변에 흐르는 청미천 횡단 교량 설치 방안도 마련했다.
철도공단은 그러나 실시설계과정에서 교량 설치 등에 따른 예산 문제와 안전성 문제를 들어 역사와 정류장의 위치를 음성군 완장리 쪽으로 100여m 이동시켰다.
이런 안이 발표되자 이천시는 인구가 많은 장호원(1만 6000명)을 외면하고 감곡(1만 2000명) 쪽으로 역사를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본 건물 위치에 따라 역사의 행정구역과 입구 등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철도공단은 이에 따라 역사 위치를 장호원 쪽으로 60~70m가량 이동한 곳에 역사를 설치하는 쪽으로 실시설계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는 음성군이 발끈하고 나섰다. 음성군은 “안전성 문제로 역사를 옮겨 놓고 장호원 주민들이 반발한다는 이유로 다시 옮긴 것은 지역을 무시한 처사”라면서 “지역 여론에 따라 역사의 위치를 마음대로 바꾸는 것은 주민들의 자존심을 짓밟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천시는 “철도공단이 역사 설치 지점을 놓고 오락가락하는 바람에 지역 갈등만 유발하고 있다”며 “전체 노선의 16%(14㎞)가 이천시를 통과하는데 역이 한 곳도 없고 음성군에는 두 곳이나 설치된다. 인구가 많은 장호원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당초 안대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4-08-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