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91% “올해도 소득 양극화 개선 안 될 것”
수정 2015-01-08 18:16
입력 2015-01-08 17:58
서울연구원, 시내 1000가구 설문

부동산 불안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7.3%가 관심 있는 이슈로, 38.1%가 중요한 이슈로 생각했다. 청년실업은 응답자의 59%가 관심을 나타냈지만 중요도는 29.9%에 그쳤다. 복지예산 확보에 대한 관심도는 59.3%, 중요도는 27.3%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관심도가 평균보다 낮은 이슈는 출산율 저하, 저성장 기조 지속, 가계부채 확대, 은퇴 후 취업 등이었다.
응답자의 91.4%는 올해도 소득 양극화 현상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소득 양극화 현상이 조금이나마 개선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7.2%에 그쳤다. 이 외에도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던 경제 이슈는 출산율 저하(개선되지 않을 것 80.9%), 사교육비 증가(78.9%), 청년실업(78.2%), 가계부채 확대(78.1%) 순이었다. 은퇴 후 취업(개선될 것 30.5%), 복지예산 확보(30%), 민간소비 회복(29.8%)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조사는 만 20~69세의 가구주를 대상으로 실시했고 미혼가구는 제외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5-01-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