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긴수염고래, 남해서 40년 만에 발견
강원식 기자
수정 2015-02-12 03:34
입력 2015-02-12 00:30
양식장 어구에 걸려 긴급구조·보호 작업
지구상에 250여 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은 멸종위기종인 북방 긴수염고래가 경남 남해군 앞바다 양식장에서 어구에 걸려 살아 있는 상태로 발견됐으나 구조에 어려움을 겪었다.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견된 것은 1974년 동해에서 발견된 뒤 40년 만이다.
통영해양경비안전서 제공
통영해경은 양식장 주인 서모(48)씨가 “큰 고래 한 마리가 양식장 줄에 걸려 버둥거리고 있다”고 신고를 해 곧바로 국립수산과학원으로 연락했다. 국립수산과학원 울산고래연구소와 부산아쿠아리움 소속 고래전문가 8명 등으로 구성된 구조팀이 오후 2시 20분쯤 현장에 도착, 고래 꼬리에 감긴 줄을 풀고 상처를 확인하는 등 구조와 보호 조치에 들어갔다. 그러나 주변에 그물 등 장애물들이 많아 구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밤사이 보호조치에 들어갔다. 구조팀은 이 고래가 멸종 위기종인 긴수염고래인 것을 확인했다. 연구소는 긴수염고래를 바다로 돌려보내도 생명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 방생하기로 했다. 이 고래는 길이가 12m쯤 되고 몸무게는 60~70t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구조팀은 발견된 긴수염고래에 대해 자세한 생물학적 분석과 연구 등을 하기 위해 유전자 샘플을 채취하고 촬영을 했다. 울산고래연구소 손호선(47) 연구관은 “북대평양 긴수염고래는 지구 상에 250여 마리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 멸종위기종이다”고 말했다.
긴수염고래는 몸 길이 16∼18m, 몸무게 50∼80t까지 자라고 수명은 60∼70년 정도다. 몸집이 크고 유영속도가 느려 인류가 처음으로 잡은 고래로 알려졌으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다.
남해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5-02-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