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영주 물러설 수 없는 ‘콩 대결’

김상화 기자
수정 2015-03-05 01:23
입력 2015-03-05 00:20
안동, 눈콩 상표등록·재배지 확대…영주, 콩세계과학관 새달 개관
한국 유교문화의 본산인 경북 안동시와 영주시가 ‘선비’ 명칭에 이어 ‘콩’을 놓고 자존심 대결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엔 ‘안동 콩’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특허청에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을 등록했다. 또 현재 1620여㏊인 콩 재배 면적을 2600㏊까지 확대하고, 항암 효과가 높다는 ‘안동밤콩’과 ‘안동불콩’에 이어 골다공증에 좋다는 ‘안동눈콩’ 등의 상표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웰빙 열풍을 타고 메주와 두부에 쓰이던 우리 콩의 활용도와 부가가치가 날로 높아지는 데 착안한 농업 전략이다.
영주시도 이에 뒤질세라 콩 관련 산업 육성에 나섰다. 야심작은 부석면 임곡리 120 부지 10만여㎡에 총 100억원을 들여 건립한 콩세계과학관을 다음달 30일 개관하는 것이다. 시는 이 과학관이 세계 최초 콩을 주제로 한 과학관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시 관계자는 “영주가 안동 등 국내 콩 주산지들을 제치고 세계적인 콩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콩연구회’에 의해 과학관 최적지로 평가받았다”고 자랑했다. 시는 최근 전문과학관으로 등록까지 마쳤다. 과학관은 콩의 생육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콩 생육장, 전통 장류 체험 및 각종 콩 요리를 만들고 배울 수 있는 콩 체험관, 콩 재배 등을 체험하는 영농 체험장 등을 갖췄다.
영주시는 콩과학관 개관을 계기로 주변에 친환경생태체험단지를 조성하고 국내 최초의 토종 콩 장려 품종인 ‘부석태’를 활용한 장류문화 자원을 체험 관광과 녹색성장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소백산 자락의 청정 지역인 영주에서는 현재 1000여 농가가 1200㏊에서 연간 2000t의 콩을 생산하고 있다.
앞서 두 시는 선비 명칭과 원조 여부를 둘러싸고 마찰을 빚었다. 영주시는 1998년 7월 ‘선비의 고장’ 상표 등록을 시작으로 ‘선비의 고장’ ‘선비정신’ ‘선비숨결’ ‘선비삿갓’ ‘선비촌’ ‘선비뜰’ ‘선비문화수련원’ 등 10여개를 상표 등록했다. 안동시는 ‘선비고을’ ‘안동선비’ ‘선비정신의 본향 안동’ 등을 상표 등록하며 맞서 왔다.
영주·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03-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