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20년 체납’ 소양강댐 물값 지불키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한종 기자
수정 2015-04-17 03:25
입력 2015-04-17 00:04

의회, 댐 안쪽으로 취수장 이전 결정

소양강댐 물값을 둘러싼 강원 춘천시와 한국수자원공사 간 20년 물값 논란이 마침내 마무리됐다. 춘천시가 수자원공사에 물값을 내기로 했다.

춘천시의회는 16일 본회의를 열고 취수장 이전을 내용으로 한 ‘안정적 맑은 물 공급 의무부담 동의안’을 표결까지 가는 진통 끝에 찬성 12표, 반대 9표로 가결했다. 이번 결정으로 취수원을 현재 동면 세월교 부근 소양취수장에서 소양강댐 안으로 이전하면서 시는 자연스레 수자원공사에 물값을 지불하게 됐다.

시의회는 현재 소양강댐 하류에서 물을 끌어올려 사용하면서 냈던 전기료 부담이 크게 줄어 댐 용수 사용료를 지급하더라도 연간 취수장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수돗물 취수원을 댐 안쪽으로 이전하면 취수방식이 기존 가압식에서 자연낙하식으로 변경돼 전기료가 연간 14억원에서 8000만원으로 크게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중 충분한 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데다 흙탕물 유입량이 줄어 깨끗한 수돗물 공급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시 상하수도사업본부는 소양강댐 취수원 확보를 위해 올해부터 2017년까지 관로와 가압장 1곳을 만들게 된다. 이를 위해 시와 공사는 실무협의체를 구성, 취수원 이전에 따른 사업비 140억원 가운데 시 부담 70억원은 수자원공사가 먼저 투자하고 시는 20년간 분할 상환한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70억원은 국비로 충당한다. 이와 함께 지난 20년간 체납하며 쌓인 200억원에 달하는 물값 원리금과 가산금은 취수원 변경 이후 수자원공사와 협의, 분할 상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아직도 많은 시민과 시의원은 “물 권리를 포기한 데다 취수원 이전이 경제성이 없다”며 반대, 당분간 마찰이 우려된다.



최동용 춘천시장은 “매달 물값 체납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제는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동의안이 통과된 만큼 앞으로 시민여론 수렴과 수자원공사와 협의해 미납금 문제 등 과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5-04-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