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상생의 사회적 농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병철 기자
수정 2015-09-01 18:42
입력 2015-09-01 18:18

경기, 기업과 손잡고 농산물 판로 확대

경기도가 농업에도 사회적 경제 개념을 도입해 지역사회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동반 성장하는 농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도는 1일 기업과 농업의 상생 협력, 농업 분야 민간자본 유치, 재능 기부를 통한 농촌 인력 확보 등의 내용을 담은 ‘경기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전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는 우선 대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농산물 판로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 3월 체결한 스타벅스와의 협약이 모델이다. 스타벅스는 커피 찌꺼기를 유기질 비료로 만들어 도내 농가에 무상 지원해 쓰레기 처리 문제를 해결하고, 농가는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해 스타벅스 임직원에게 판매한다.

또 농업 분야의 크라우드펀드를 도입할 예정이다. 크라우드펀드는 온라인으로 소액 투자자를 모집하는 것이다. 충북 청양의 매실 농가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체험 고객이 줄자 크라우드펀드를 모집해 30개 농장에 675명이 투자한 사례가 있다. 도내 유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회공헌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도 100억원, 민간자본 100억원 등 200억원 규모의 농식품 모태펀드 도입도 검토한다.

재능 기부의 경우 기존 1사 1촌이나 농촌 봉사활동 등 단순한 인력 지원에서 벗어나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송유면 도 농정해양국장은 “도의 사회적 농업 활성화 전략은 전국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조기 은퇴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해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5-09-0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