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살아난 송도해수욕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정한 기자
수정 2015-10-08 01:09
입력 2015-10-07 23:02

475억 들여 연안정비 해안갈맷길 등 차별화 올여름 753만명 방문

송도해수욕장이 살아났다. 절정기인 1960년대만 해도 해수욕장의 대명사는 ‘송도’였다. 그러나 수질오염 등으로 내리막길을 걷다가 세인의 관심에서 사라진 해수욕장으로 전락했다. 그런 송도해수욕장이 수백억원을 쏟아부은 연안정비사업으로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다. 옛 송도가 살아났음은 다름 아닌 수치가 대변해 주고 있다.

부산 서구에 따르면 올여름 송도해수욕장을 찾은 인파는 753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90만명에 비해 크게 늘었다. 해상산책로, 다이빙대, 해안 갈맷길 등 다른 해수욕장과의 차별화도 피서객을 유인하는 촉매였다. 결정타는 서구의 ‘송도살리기 프로젝트’였다. 서구는 2000년부터 송도해수욕장에 국·시비 등 475억원을 들여 연안정비사업을 벌였다. 2013년부터는 ‘송도지구 복합해양휴양지 조성사업’을 해 오고 있다. 총 157억여원(공유수면 매립비 포함)을 투입해 2016년 완공할 예정이다. 해상케이블카도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송도지구 복합해양휴양지 조성사업은 해수욕장 동편 송도1지구(거북섬테마공간)와 서편 송도2지구(오션파크)로 각각 나뉘어 추진되고 있다. 박극제 서구청장은 “송도휴양지 조성사업은 송도해수욕장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사계절 여가와 휴양,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5-10-0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