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첫 ‘새마을운동연구소’ 세네갈에 열었다

김상화 기자
수정 2015-11-23 01:10
입력 2015-11-22 23:02
경북도 두 번째 새마을 세계화 사업

경북도 제공
개소식에 참석한 김관용 경북지사는 “이 연구소가 아프리카에 맞춤형 새마을운동을 보급하고 글로벌 새마을 전문가를 양성하는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19일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으로부터 세네갈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해 양국 간 교류협력에 기여한 공로로 국가 훈장 사자기사장을 받았다.
경북도는 지난해부터 생루이주 마을 2곳에 새마을 시범마을을 조성해 마을 회관 및 정미소 건립 사업 등을 펼쳤다.
마키 살 대통령은 김 지사에게 훈장을 수여하는 자리에서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이 됐던 새마을운동을 우리가 갖게 돼 박근혜 대통령과 김 도지사에게 매우 감사한다”면서 “새마을운동은 정신 개조 운동인데 세네갈 젊은이들을 바꿔 줄 것으로 확신한다.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도지사는 “새마을운동은 세네갈과 대한민국을 잇는 새로운 성공 협력 모델”이라며 “세네갈의 농촌 재건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김 도지사는 무스타파 로디아타 농업 담당 국무장관, 맘 은바이 녕 청년고용부 장관 등과 새마을운동 협력에 관한 실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는 ▲영농기계 시범사업 및 새마을운동 정신이 깃든 국민의식 교육 ▲세네갈 새마을운동연구소 설립 및 운영 지원 ▲현지 새마을운동 연수 및 세미나 개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도는 개발도상국 빈곤 퇴치 등을 위해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부터 에티오피아와 르완다,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새마을 리더 봉사단 파견,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현재 에티오피아, 르완다, 탄자니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등 9개국 27개 마을에 418명의 봉사단이 파견돼 새마을 시범마을을 만들고 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11-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