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강치’ 바닷물 휩쓸리면 어쩌나

김상화 기자
수정 2015-11-26 11:40
입력 2015-11-25 18:04
울릉도에 세운 동상 위치 부적절 논란

하지만 주민들은 동상의 위치가 부적절하다며 다른 장소로 이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주민들은 “오랜 경험에 비춰볼 때 태풍이 불면 동상이 불어난 바닷물에 휩쓸리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서는 이전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해수부는 당초 이 동상을 독도(천연기념물 제336호)에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문화재청이 주변 경관 훼손을 이유로 불허하는 바람에 부득이 장소를 재물색했다. 이 과정에서 울릉군이 동상 건립 후보지로 울릉도에서 독도가 가장 잘 보이는 울릉읍 행남산책로 입구 일대를 추천했으나 묵살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도 강치는 동해 연안에 서식하던 바다사자 종으로, 지역에선 ‘가재’로도 불렸다. 19세기 동해에 3만∼5만 마리가 서식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동해를 대표하는 해양포유류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무분별한 포획으로 개체 수가 줄다가 1974년 한 마리가 발견된 게 이 지역 강치의 마지막 기록이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11-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