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등 100만 대도시, 광역행정 전문인재 양성소로 각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병철 기자
수정 2015-12-08 16:05
입력 2015-12-08 16:05
 100만 이상 대도시인 경기 수원·고양, 경남 창원시가 광역행정 수행능력 강화를 위해 공직자 교육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들 도시는 지역대학교와 손잡고 6급 장기교육자를 대상으로 지방행정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을 하고 있다.

 8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핵심리더 양성과정’을 개설, 6급 중간간부 30명을 자체 선발해 차세대 팀 리더 육성교육을 펼치고 있다.

 시는 “인구 120만의 광역도시에 준하는 규모로 행정수요가 급증하면서 행정의 다양화로 인한 공무원의 전문성과 리더십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부터 12월까지 핵심역량, 리더십, 직무전문, 정책연구, 자기계발, 현장학습 등 6개 분야 19과목을 지역실정에 맞게 개설, 운영하고 있다.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과 연계했다.

맞춤형 중견공무원 육성뿐만 아니라 지역 대학교와의 관·학 협력해 지역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시정과제발표회에서는 지역 현안과 관련한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수원시 공가, 폐가 활용화 방안(최진학)’, ‘화장장 건립관련 갈등사례분석(정상빈)’, ’드론 이용 지적측량 활용 방안(류병주)’, ‘공공청사 관리의 효율적 운영방안(신현삼)’ 등 30여건의 정책제안이 쏟아졌다.

교육생인 정상빈 팀장은 “이번 장기 교육과정을 통해 직무교육과 자기계발을 할 수 있어 중간공직자로서의 역할을 배울 수 있었다”면서 “이번 교육이 공직생활의 터닝포인트가 됐다”고 말했다.

고양시도 업무추진 성과우수자 등 15명을 뽑아 ‘스페셜 인재’ 육성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고양캠퍼스와 연계해 지난 2월부터 12월까지 44주간의 교육과정을 마련했다. 교육은 접경지역 특성을 반영해 평화통일과 균형발전, 주민자치 등 향후 100만 대도시에서 예측되는 분야에 맞췄다.

창원시도 창원대학교와 손잡고 지난 3월부터 12월까지 하루 7시간씩 총 42주간 ‘중견리더과정’을 마련했다. 일반직 6급 공무원 20명을 선발해 지방재정, 도시계획, 도시재생, 도시이미지, 스포츠와 도시발전 등 5개 분야 75과정으로 구성해 ‘맞춤형 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 3개 시의 6급 지방공무원 장기교육은 행정자치부가 교육에 대한 별도 인원을 배정해 이뤄졌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지방공무원들이 일 잘하면 곧바로 시정 발전, 시민 행복으로 이어진다”면서 “인재양성도 시대 흐름에 맞게 개편해 전문성과 개방성을 높여야 미래를 대비하고 경쟁력 있는 공직사회로 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