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사판 ‘3·1독립선언서’ 문화재 등록 추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수정 2016-02-17 15:54
입력 2016-02-17 15:54
1910년대 최남선의 ‘신문관’과 천도교 ‘보성사’는 대한제국의 지성을 이끈 출판·인쇄계 양대 기관이다. 한국 출판문화를 꽃피운 전당이란 의미를 갖는 이곳이 한국사에 남긴 큰 의미는 1919년 3·1운동을 앞두고 독립선언서 원고를 인쇄했다는 점이다. 1919년 2월 27일 밤 두 곳에서 찍은 독립선언서는 2만 1000여장에 이른다. 그러나 현재는 거의 볼 수 없어 가치가 더 높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는 3·1독립선언서 중 개인이 소장한 보성사판에 대해 문화재청에 등록문화재 신청을 했다고 17일 밝혔다. 등록문화재는 1876년 개항 후 한국전쟁까지 근대문화유산 중 보존·활용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뜻한다. 전문가 조사와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등록문화재 등록이 확정되면 독립선언서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는 첫 사례가 된다.

이미지 확대
보성사판이 신문관판과 다른 부분은 판형, 활자체와 첫 줄에 ‘我鮮朝(아조선)’이라고 된 표기 오류다. 보성사판 중 공개된 것은 독립기념관, 서울역사박물관, 독립운동가 오세창과 박종화 가문의 소장본 등 5점이다.

아울러 시는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백용성 스님의 ‘조선글화엄경’과 ‘조선어늠엄경’, 성북구 흥천사가 소장한 ‘감로도’ 등도 함께 등록문화재 등록을 신청했다. 백용성 스님은 한문 불경을 우리말로 번역해 불교를 대중화하고 민족의 독립 역량을 결집하고자 했다. 두 자료에선 당시 한글의 변화 과정도 엿볼 수 있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