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백록담의 ‘정확한 나이’는 몇 살일까?’ 지금까지 백록담은 2만5000살로 알려졌다.
제주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과 함께 올해부터 2019년까지 천연기념물 제182호인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지형·식생·기후 기초학술조사를 벌인다고 8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다음 달에 산정 화구호인 백록담 바닥을 20∼40m가량 뚫어 토양과 암석, 꽃가루 등의 시료를 채취할 계획이다. 토양과 암석의 연대를 측정해 정확한 화산분출 시기를 밝힐 예정이다. 또 꽃가루 등으로는 옛날 기후와 식생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이달 중 예비조사를 통해 시추 위치 등을 선정하고, 헬기로 시추기를 백록담까지 운반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백록담은 2만5000년 전에 분출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분출시기를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에는 있는 다른 산정 화구호들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한다. 추가 조사 대상은 물장오리, 사라오름, 소백록 등이다. 이들 산정 화구호 시추조사를 통해 연대별, 고도별 지질 및 동·식물 분포, 기후변화에 따른 수직 이동 기록, 과거 황사 기록 등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전체 지형과 지질도 조사한다. 항공기에서 레이저를 쏘는 라이다(LiDAR) 촬영 방식으로 실제 지형과 같은 3차원적 지형 모형을 구축해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을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