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지센터에서 주민 밀착형 서비스 시작합니다”
이명선 기자
수정 2016-07-04 23:17
입력 2016-07-04 22:14
區 없앤 부천시, 책임洞 10곳 운영 시작
“행정체계 개편을 계기로 주민 밀착형 현장 행정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부천시 제공
이번 개편으로 행정처리 단계가 시·구·동 3단계에서 시·동 2단계로 축소됐다. 시와 구의 중복 업무 35.5%가 사라져 구 인력 307명을 동주민센터에 배치했다. 부천시의 행정복지센터는 추가 인력 없이 행정체제를 간소화, 책임동제를 먼저 시행한 타 자치단체와는 차별화된 행정혁신으로 평가된다.
구 폐지로 남는 원미구청사에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자리잡고 오정구청사 안에는 도서관이 마련됐다. 여유 공간은 공동육아나눔터 등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구청사를 시민 문화복지시설로 전환해 유·무형 3000억원의 예산절감 효과가 예상되고 매년 절감되는 40억원의 구청 유지운영비는 시민들을 위한 사업에 쓸 계획이다. 시민공간으로 활용되는 구청사 이름은 ‘어울마당’이 선정돼 구청 건물 명칭은 어울마당 앞에 옛 구청의 이름을 붙여 부른다.
김 시장은 “전국 최초로 실시하는 일반 구 폐지는 지방행정 개혁의 선도 모델이자 행정 혁신의 반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행정복지센터 가동으로 맞춤형 복지, 건강관리, 일자리지원 등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부천시 미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2016-07-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