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 뿌리고 영양 주고 제가 뜨면 다 됩니다

남인우 기자
수정 2016-07-20 23:31
입력 2016-07-20 22:44
청주 청원생명쌀 ‘드론 공동방제’ 현장 가보니
“방제 꼼꼼하다” 농민 기대감

청주시 제공
드론협동조합 관계자들이 리모컨을 만지자 직경 3.8m 크기의 드론 2대가 힘찬 프로펠러 소리를 내며 하늘로 솟아올랐다. 드론에는 각각 20ℓ의 약제가 탑재됐다. 이륙에 성공한 드론은 논 위 3m 상공의 고도를 유지하며 영양제 등을 뿌리기 시작했다. 장난감같이 생긴 드론이 그동안 농민들을 힘들게 했던 방제작업을 대신해 주자 여기저기서 “신기하다”는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이날 드론 2대가 논 3㏊를 방제하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20분. 방제 차량을 동원하면 서너 시간이나 걸릴 면적이다. 시 원예유통과 박용국 청원생명마케팅팀장은 “병해충 방제에 따른 농가의 노동력 절감을 위해 드론 방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라며 “영농조합법인이 드론 구입을 원하면 시가 50%를 지원해 준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최근 드론 2대를 활용해 철분 코팅 볍씨 살포, 농약 방제, 입상 비료 살포 등을 선보였다. 볍씨와 농약 공중 살포에 따른 기술적 보완과 드론의 현장 적응성 등을 점검했다. 도는 올 하반기부터 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에 드론 교육 과정을 개설해 농민을 대상으로 한 농업용 드론 활용 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2018년까지 과수 병해충 방제에 적합한 드론과 GPS를 적용한 자동비행 방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드론 제작에는 국내 드론 업체가 참여한다.
지자체들은 농민들의 반응이 좋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선 무인헬기는 한 대에 2억원가량 하지만 드론은 2000만~6000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농작물 위 2~3m 상공에서 약제 정밀 살포가 가능하고 진입로 등 지형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 조종이 쉽고 기체가 작아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도가 높다. 접이식 설계로 이동 및 운반 능력이 우수하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1회 충전으로 10여분밖에 비행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co.kr
2016-07-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