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22년까지 공공 임대주택 7만 3000채를 공급해 서민 주거안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인 3만 8000채는 청년세대용이어서 눈길을 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거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서 시장은 “우리 시 공공임대주택 보급률이 국내 평균과 OECD 국가 평균보다 낮은 편”이라며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이들의 중간 정도인 8.5%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인 3만 8000채는 청년세대에게 제공하고 청년세대를 위해 접근성이 좋은 대학가 주변, 역세권이나 상업지역, 산업단지 주변 등에 공공임대주택을 건립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서병수 부산시장이 8일 기자회견에서 서민주거안정대책을 밝히고 있다.
일반서민 및 중산층 등을 위한 대책도 내놨다. 서 시장은 “부산형 뉴스테이 사업을 통해 시세보다 80% 이하로 저렴하게 공급하고 임대료 인상을 최소화하고 적어도 8년은 안심하고 거주토록 하겠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밖에 “새뜰마을, 행복마을, 희망마을 등 각종 재생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이곳에는 마을지기사무소·복합커뮤니티센터를 운영해 단독주택지의 불편함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어르신을 위해서는 최초로 전용 맞춤형 공공실버주택 200채를 건립하며 고품격 주거시설과 복지시설도 함께 들어선다.
그는 “영구임대주택 등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소년·소녀가정 등 어려운 이웃을 위해 매입·전세·임대주택을 대폭 확대 공급하는 등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재원 13조원은 국비와 주택도시기금을 적극 활용하고 민간건설업체를 참여토록 해 재원을 조달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