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오는 19일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에서 ‘세계자연유산지구 확대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 보고회를 연다고 12일 밝혔다.
유네스코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2007년 제주의 다른 동굴이나 화산적 특징을 추가로 세계유산에 등재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 6월 2억 6000만원을 들여 대한지질학회에 세계유산지구 확대 타당성 조사용역을 의뢰했다. 대한지질학회는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화산 및 용암동굴을 대상으로 세계자연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학술·경관적 가치, 희소성, 법적 보호체계 마련, 지역주민 호응 여부 등 다각적인 평가기준을 통해 5개 지역을 잠정 후보지역으로 제시했다.
이미지 확대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화산체인 용머리해안. 겹겹이 쌓인 응회암 지층으로 이뤄진 해안 절경 등으로 천연기념물 제526호로 지정됐다. 제주도 제공
도는 오는 12월 후보지 5곳의 세계자연유산 잠정목록 등재 신청서를 문화재청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어 문화재청의 현장실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잠정목록으로 선정되면 유네스코에 세계자연유산 등재 신청서를 제출, 심의를 받게 된다. 현재 제주에서는 한라산과 성산일출봉, 거문오름용암동굴계 등 3곳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