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군공항 이전 대립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치봉 기자
수정 2016-10-12 23:21
입력 2016-10-12 22:12

전남 “무안공항으로 이전 반대” 광주 “기피시설 떠넘기기 아냐”

현부지 820만㎡엔 신도시 계획

광주시가 군 공항 이전 후보지 물색에 나선 가운데 유력한 대상지로 거론되는 전남도가 “반대한다”는 원칙을 고수해 갈등이 예상된다.

12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국방부가 “이전이 적정하다”는 평가를 내린 이후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광주 군 공항 이전 적정지역 조사·분석용역’를 발주했다. 결과는 내년 상반기쯤 나온다.

백봉기 광주시 도시재생국장은 지난 11일 시의회 임시회에서 “이 문제를 시·도 상생협력 과제로 선정해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백 국장은 “군 공항 이전이 기피시설을 떠넘기기 위한 사업이 아닌 광주·전남의 상생을 위한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종전부지 개발에 따른 수익금을 신기지 건설과 이전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활용하고, 이전 지역민의 동의를 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남도는 광주 군 공항이 무안공항으로 옮겨 오는 것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도 관계자는 “시가 이 문제를 일방적으로 시·도상생협의회 안건으로 올리겠다는데 이는 상생의 원칙에 어긋난다”며 불쾌하다는 반응이다. 이낙연 전남지사는 “민간공항과 군공항은 함께할 수 없다는 과거 입장 표명과 관련해 변화가 없느냐”는 도의원의 질의에 “지금도 원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한 적이 있다. 이 지사는 “광주 군 공항을 이전하는 이유 중 하나가 민간공항과 함께 있다는 것인데, 무안공항으로 이전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시·도는 민선 6기 들어 무안공항 활성화 등 19개 현안 해결에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으나 ‘군 공항 이전’은 과제에서 빠졌다.



시는 지난 8월 국방부로부터 광주 군 공항 이전 적정 평가를 받은 뒤 이전 전담부서 신설을 추진하고 관련 용역발주에 나서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시는 이전 건의서에서 내년까지 군 공항 이전부지를 선정하고 2022년까지 이전을 마무리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군 공항 이전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한다. 이전 비용은 5조~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2021년부터 현재의 군 공항 부지 820만㎡를 ‘서남권의 중심 솔마루시티’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6-10-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