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 ‘서울대 도시 데이터 연구소’ 입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수정 2016-12-07 19:29
입력 2016-12-07 19:29
시민들의 콜택시 요청 통화량 30억건이란 빅데이터를 분석해 심야에 운영하는 ‘올빼미버스’ 노선을 만든 서울시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소’를 세운다.

서울시는 7일 서울대와 함께 24시간 개방공간인 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 ‘도시 데이터 사이언스’를 세워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빅데이터 연구원들이 교통, 환경, 도시 개발 등 다양한 도시문제 해법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시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민간과 함께 빅데이터를 연구하는 것은 국내 처음으로,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소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핵심 연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서울의 공기 오염과 소음 분포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을 분석해 대안을 제시한다. 또 교통 패턴을 분석해 시각화하는 과제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서울대 빅데이터 아카데미’를 열어 대학생, 취업준비생, 실무자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교육도 한다.

차상균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장은 “새로 문을 여는 연구소에서 서울이 직면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