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은 되고 연구로는 안되나”…기장군수 1인 시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정한 기자
수정 2017-03-07 17:48
입력 2017-03-07 17:48
오규석 부산 기장군수가 7일 오전 11시 30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수출용 신형 연구로 건설허가 촉구’를 주장하며 1인 시위에 들어갔다.

수출용 신형 연구로는 암 조기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대량 생산하고 중성자를 이용한 반도체 생산, 비파괴 검사 등에 활용되는 소형 연구 설비를 말한다.

기장군은 2010년 7월 30일 수출용 신형 연구로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후 비발전 분야를 선도할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일반산업단지(사업비 3512억원)에 수출용 신형 연구로를 건설하기로 하고 준비해왔다.

하지만, 허가권자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지난해 발생한 경주지진을 이유로 들어 허가를 지연하고 있다. 기장군은 연구로 건설허가가 안 되면 2500여억원이 투입된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일반산업단지에 입주를 기다리는 의료·바이오 기업과 파워 반도체 관련 30여개 기업 유치가 불가능하고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파워 반도체 산업클러스터 조성 자체가 물거품이 된다고 우려했다.

기장군은 수출용 신형 연구로는 열 출력이 발전용의 0.3%에 불과하고 내진 설계도 발전용 원자로보다 훨씬 더 견고한 0.3g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오규석 부산 기장군수가 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수출용 신형 연구로 건설허가 촉구’를 주장하며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부산 기장군 제공
오규석 부산 기장군수가 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수출용 신형 연구로 건설허가 촉구’를 주장하며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부산 기장군 제공
또 지진해일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고리원전보다 8배 이상 높은 해발 80m 지점에 건설예정부지를 정했다고 덧붙였다.



오 군수는 “원안위가 질병 진단과 치료 등 의료용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시설인 수출용 신형 연구로 사업을 왜 중단시켜 놓고 있는지 명백한 근거와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며 “수출용 신형 연구로 사업이 중단된다면 0.2g로 내진 설계된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