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촌 등 대학가 역세권에 ‘공공기숙사’ 생긴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유대근 기자
수정 2017-04-16 15:41
입력 2017-04-16 15:41
서울시가 역세권에 짓는 청년주택을 활용해, 지방자치단체들과 협업하는 공공기숙사를 만들기로 했다.

서울시는 민간업자가 대학가에 ‘역세권 2030청년주택’을 지을 때 기부채납해야 하는 일부 공간에 대학생 공공기숙사를 만든다고 16일 밝혔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시가 역 주변의 땅 주인 등에게 용적률 등 혜택을 줘 준공공임대주택 짓게 하고 대신 임대 물량의 10~25%를 기부채납받아 20~39세의 청년에게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정책으로, 2016년에 내놓은 서울시 정책이다. 시는 공공임대 물량을 주변 시세의 60~80% 수준에 공급한다.

서울시는 서강대와 연세대, 이화여대 등이 있는 마포·서대문구, 서울대가 있는 관악구 등 대학생 주거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공공기숙사 건립을 우선 추진한다. 기숙사는 세탁실·주방 등 공유 공간과 게스트하우스, 창업지원공간 등 커뮤니티시설을 갖춘 ‘청춘 플랫폼’로 꾸며진다.

서울시는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공공기숙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해당 지역 출신 학생들을 위해 공공기숙사를 제공받는 대신 기숙사 운영비 등 일부를 부담하게 된다”고 말했다. 시는 2014년 충남 태안시, 전남 순천시 등 14개 지자체가 함께 내발산동 공공기숙사를 건립해 현재 해당 지역 출신 학생 382명이 거주하고 있다.

문제는 대학가 상인들의 반발이다. 역세권에 공공기숙사가 들어서면 하숙집이나 원룸 등 업종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청년주택은 사업 주체가 민간이라 반발이 덜한데다 창업지원공간 등 사람을 끌어모을 시설도 입주하기 때문에 지역 상권에도 순기능이 있다”면서 “사업이 구체화하면 지역민들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