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지역 산업정책 수립 위한 원탁회의 열려

신동원 기자
수정 2017-06-10 00:25
입력 2017-06-09 17:53
시민.기업 함께 글로벌 기업도시 성남의 미래 준비

진흥계획은 2008년부터 10년째 시행된 성남전략산업육성정책을 개편한 후속 계획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지역산업육성방안을 담는다.
이날 원탁회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시민을 위한 행복한 일자리 창출을 슬로건으로 120여명의 시민 .기업인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행사는 100여명의 시민정책참여단에 대한 위촉장 수여식으로 시작했다. 이어진 원탁회의 진행방식도 완전히 달라져 참여자의 실질적인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개방형 정책 플랫폼 방식으로 진행했다.
시와 재단은 연초부터 시민, 기업, 전문가의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심화하는 6개월간의 사전 준비과정 거쳐 4개 분야의 전문가 제안 과제와 40여 개의 시민제안 과제를 선별하였다. 이 과제를 9개 조로 나누어 숙의 과정을 거친 후 참여자 전원의 투표로 정책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날 참여자 전원의 투표 결과 ‘성남시니어 전문인력 Pool 구축’ 과제가 최다 득표 하여 중요도 높은 정책으로 선정되었다.
이 과제를 제안한 김성철 시민자문위원은 “성남에 거주하는 실버 전문인력을 필요한 기업에 연결하는 인재 매칭 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시민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 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행사를 주최한 장병화 성남산업진흥재단 대표이사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은 시민의 일자리 창출과 직결되고 삶의 질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기업과 시민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