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째 1억씩 쓰는 삼국유사 골든벨 들어는 보셨나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수정 2017-07-12 18:18
입력 2017-07-12 18:04

군위, 작년까지 6억 들였지만 아는 사람 없는 단순 행사 그쳐

“지역 경제에 도움 안 돼” 지적

“삼국유사 골든벨 퀴즈대회를 아시나요?”

경북 군위군이 없는 살림에 매년 1억원 가까이 쓰면서 삼국유사 골든벨 퀴즈대회를 진행하지만 국민들은 거의 몰라 개선책 마련을 요구하는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군위군 재정자립도는 5%대로 전국 최하위권이다.

12일 군위군에 따르면 매년 전국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삼국유사의 고장’ 군위를 홍보하고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삼국유사의 진정한 가치를 일깨워 주기 위해 삼국유사 골든벨 퀴즈대회를 연다.

지난해 8회 대회까지 전국 753개 고교의 4578명이 참가해 실력을 겨뤘다. 연평균 572명이 참가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대회는 참가자들이 삼국유사 권장도서를 중심으로 출제되는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치른다. 매회 최우수상인 골든벨 등 수상자 9명에게는 교육부장관상, 경북도지사상, 군위군수상 등의 상과 함께 각 200만~50만원의 장학금을 준다. 지난해까지 행사비 6억 4500만원이 들어갔다. 올해 대회는 오는 9월 9일 군위읍 삼국유사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대회가 단순 행사에 그쳐 실효를 거두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지역 홍보 및 경제활성화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매년 대회가 몇 시간 만에 끝나는 데다 군의 참가자 사후 관리 등이 부재한 탓이다. 그러다 보니 예산 낭비라는 지적도 나온다. 군위 주민들은 “군이 대회 참가자들을 군위 명예홍보 요원 등으로 위촉해 중장기적으로 활용하고 군위를 다시 찾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군의 미래를 위해 대회 입상자들의 친목 모임을 주선하고, 군 행사 때 초청하는 등 특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한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대회 참가자가 학생들인 관계로 사후 관리 등에 어려운 점이 없지 않다”면서도 “앞으로 대회를 통한 지역발전 방안을 적극 모색해 보겠다”고 말했다. 군위는 고려 말 보각국사 일연(1206~1289) 스님이 말년에 기거하면서 신라·고구려·백제 3국의 유사(遺事)를 모아 지은 사서(史書)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이다.

군위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7-07-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