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환경단체, 4대강 수문 완전개방 촉구
강원식 기자
수정 2017-09-25 14:29
입력 2017-09-25 14:29
낙동강네트워크는 기자회견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약속대로 하루빨리 4대강 수문을 완전 개방하라”며 “4대강 수문을 완전 개방해도 농업용수와 상수원수 이용에 차질이 없도록 양수 및 취수시설 개선을 서둘러 추진해 대통령 수문 상시개방 약속이 헛공약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또 “내년까지 4대강 보 철거와 재자연화 대상 선정 등 처리방안을 확정하기 위해 하루빨리 4대강 민관합동조사평가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시작 10여일 만에 낙동강 등의 녹조문제 해결을 위해 전격적으로 4대강 수문개방을 지시했으나 환경부·국토부·농림식품부가 공동마련한 방안은 4대강 16개 보 가운데 6개 보를 농업용수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최소한으로 개방하는 수준이었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이에 따라 “낙동강 8개 보 가운데 창녕함안보 수위가 0.2m 낮아지는 등 4개 보 수위만 0.2~1.2m 낮아지는데 그쳐 낙동강은 유입되는 물이 없으면 녹조범벅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당시 전국 환경단체 등이 수문 부분개방을 환영하고 지지한 것은 농업용수 공급을 우려하는 일부 농민 마음을 헤아렸기 때문이었다”며 “이제 농업용수 공급이 필요없는 시기에 접어들었는데도 정부는 수문개방에 대한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9월 하순 날씨임에도 낙동강은 보를 중심으로 녹조가 발생해 창녕함안보, 합천창녕보를 비롯한 낙동강 전체 보 구간이 조류경보 발령단계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이런 낙동강 물은 수돗물은 물론이고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고, 물고기도 살 수 없다”고 덧붙였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농업용수가 필요한 논 농사철이 끝났으니 내년 봄까지 수문을 완전 개방한 뒤 강과 농경지 등의 재자연화와 안정화를 살펴보자”고 제안했다.
경북 고령군 우곡면에서 수박농사를 하고 있는 곽상수(49)씨는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해 “지난 6월 1일 낙동강 보 수문 일부가 개방된 뒤 강 주변 지하수 수위가 이전보다 1m쯤 낮아지면서 수박농사 담수피해가 다소 줄었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