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일본어 잔재·어려운 한자…철도용어 쉬운말로 바꾼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정한 기자
수정 2017-11-09 18:08
입력 2017-11-09 18:08
부산교통공사는 일본어 잔재나 어려운 한자어로 된 철도용어를 쉬운말로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교통공사는 먼저 쉽게 바꿔야 할 용어 140개를 선정하고 이를 대체할 표준화 용어를 마련했다. 일제 강점기 순사가 사무를 맡아보던 곳을 일컫는 주재소는 파견분소나 관리소로, 열차 차량을 세는 단위를 말하는 량은 칸으로 바꾸기로 했다. 운행시격은 운행간격으로, 행선지는 가는 곳이나 목적지로 순화하기로 했다.

열차 운행과 관제 설비를 통제하고 지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운전사령은 운전 관제로, 차량을 이동하거나 분리 또는 연결하는 것을 말하는 입환은 열차 재배열로 대체하기로 했다. 개찰구는 표 내는 곳으로, 타행운전은 무동력 운전으로, 역행운전은 동력운전으로, 퇴행운전은 후진운전으로 바꾼다.

이밖에 공차(빈 차), 촉지도(점자안내도), 공전(헛돌기), 지장물(장애물), 열차다이아(열차운행도표), 스크린도어(승강장 안전문)도 바꿔야 할 철도용어로 꼽혔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