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되면 국제기구 입주로 위상 높아져

이천열 기자
수정 2018-02-06 17:51
입력 2018-02-06 17:40
세종시의 어제·오늘·내일
세종시는 2004년 10월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려 반쪽짜리 행정도시가 됐지만 지금도 발전 속도는 눈부시다. 2012년 총리실과 기획재정부 등 8곳을 시작으로 2016년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를 마지막으로 당초 계획했던 중앙부처 이전이 모두 끝났다. 19개 중앙부처와 20개 소속기관 등 모두 39곳이 세종시로 이전했고 종사자 1만 4700명 남짓이 근무지를 옮겼다.
나날이 첨단 도시로 변모하자 대전, 충남, 청주 등 인접 지역 주민들도 세종시로 몰려들었다. 2012년 7월 시가 출범했을 때 12만 2263명이던 인구는 현재 28만 7320명이 넘는다. 6년도 안 돼 2배가 훌쩍 넘은 것이다. 갖가지 편의시설도 늘어나고 다양해졌다.
김 기획관은 “그래도 시민들은 서울을 기준으로 생각해서인지 아직 불편해한다”고 웃었다. 설문조사에서 시민들은 교통 인프라를 가장 불편한 점으로 꼽았다. 대중교통 노선이 적고 배차 간격이 크다는 것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문화·체육시설과 보건의료시설 부족을 들었다. 종합병원, 호텔, 백화점이 없어 대전 등으로 가야 하기 때문이다. 영화관도 CGV 한 곳뿐이다. 김 기획관은 “2019년 말 아트센터가 들어서면 1000석 이상의 대공연이 가능하고 2020년 충남대병원도 들어선다”고 설명했다.
세종시는 2010년 12월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충남 연기군 전역에 공주시 3개 면 21개 리, 충북 청원군(현 청주시) 8개 리를 포함시켜 특별자치시로 만들어졌다. 재정집행을 기준으로 현재 행정도시 건설 공정률은 62%이다. 김 기획관은 “행정수도가 되면 목표 인구 50만명도 2030년 전에 이뤄지고 대전, 공주, 청주 등 인접 지역 인구도 지금과는 반대로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세종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8-02-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