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선 돈 한푼 안 쓰고 9년 모아야 내 집 장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18-05-08 18:46
입력 2018-05-08 18:06

자가점유율, 전국 대비 14.8%P↓… 노인 63.2%, 청년가구 19.1%

서울시 가구의 절반 이상이 남의 집이나 공공 임대주택에 세 들어 사는 등 전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주거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지난해 5~9월 전국 표본 6만 64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7년도 주거 실태 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이와 별도로 지난해 7~11월 국토부 표본 중 서울시 8000여 가구 표본에 서울시 추가 표본 8000여 가구를 더한 1만 6169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치구의 주거 실태도 이날 발표했다.
이미지 확대
자기 소유의 주택에 자기가 사는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점유율’의 경우 전국이 57.7%인 반면 서울시는 42.9%로 14.8% 포인트 낮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 가구의 절반 이상(57.1%)은 임대 가구거나 무상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노인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63.2%인데 반해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청년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19.1%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젊은층의 10가구 중 8가구 이상은 남의 집에 세 들어 사는 셈이다. 구 별로는 도봉구(60.2%), 노원구(51.1%), 양천구(50.5%)의 자가 점유율이 높았다.



서울의 집값은 평균 연 소득 대비 9배 가까이 높았다.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가 중위수 기준 8.8배로 나타났다.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9년 가까이 돈을 모아야 서울에서 내 집을 장만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자치구별로는 서초, 강남, 용산구 순으로 연 소득 대비 집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PIR은 20.8배, 강남구 18.3배, 용산구는 13.1배였다. 21년 가까이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초구에서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8-05-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