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전북도청 신청사 건립… 신시가지 조성 사업에 노른자위 땅으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수정 2018-05-17 23:35
입력 2018-05-17 22:42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는

대한방직 전주공장은 1975년 7월 건립됐다. 대한방직은 전북 전주시 효자동 3가 일대 40만 3307㎡에 21동의 공장 건물을 지어 면사와 직물을 생산하고 있다.

당시 이 지역은 전주시의 서쪽 변두리였다. 주변이 모두 농경지로 도로 등 기반시설이 조성되지 않아 인가도 없고 교통도 불편했다. 그러나 소비도시인 전주에서 대한방직은 선망의 직장이었다. 처우가 나쁘지 않았고 공장에 사택도 있어 부러움을 샀다. 근로자가 많을 때는 1000여명에 이르렀다.

전주시 발전 축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대한방직 주변은 점차 신흥개발지역으로 변했다. 특히 2005년 7월 전북도청사가 중앙동 시대를 접고 효자동 시대를 열면서 대한방직 전주공장은 전주의 최고 중심가로 떠올랐다. 전북도청이 전주공장 부지의 남쪽 부분 1만 1078㎡를 매입해 신청사를 건립했기 때문이다.

이어 전주시가 신도청을 중심으로 신시가지 조성 사업을 추진해 대한방직 전주공장만 도심 속의 섬으로 남았다. 공장 주변은 전북도청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상가, 아파트로 채워졌다. 개발되지 않은 공장 부지는 갈수록 땅값이 치솟았다. 개발 가치가 높다고 판단한 건설회사들이 여러 차례 매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때마다 대한방직 주가가 출렁였다.

공장 부지는 주변 개발에 따라 도로 등으로 편입돼 면적이 크게 줄었다. 2003년 7월 전북도청사 부지 매각에 이어 도로로 6만 2575㎡가 편입돼 현금 보상을 받았다. 전주 서부신시가지로 2만 3008㎡가 수용됐다. 현재 10필지 21만 6463㎡만 남아 있다. 이 가운데 2필지 6228㎡는 전북도 소유다. 대한방직 전주공장은 부지를 매각하고 이전하기로 노조(120명)와 합의했다. 완주군 이서면 신한방직 건물을 임대해 사용할 계획이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8-05-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