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갈등 ‘금강~예당 도수로’ 민·관이 봉합

이천열 기자
수정 2018-05-24 19:00
입력 2018-05-24 18:04
저수지 가뭄 해소 차원…정부 일방 사업 추진에 충돌

서울신문 DB
사업이 촉발된 건 2015년 가을 닥친 극심한 가뭄이었다. 국내 최대인 예당저수지는 가뭄으로 저수율이 15% 정도로 떨어져 바닥을 드러냈다. 물 위의 낚시 좌대는 진흙 위에 처박혔고 떼죽음을 당한 물고기는 곳곳에서 썩어 갔다. 농업용수 공급은 언감생심이었다.
도는 가뭄이 이듬해 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정부에 금강~예당지 도수로 건설을 건의했다. 금강에서 공주시 유구읍 차동고개까지 27.4㎞에 직경 1100~1350㎜의 관을 묻어 물을 펌프질한 뒤 하천을 통해 예당저수지까지 14㎞ 더 흘려보내는 것이었다. 취수한 물 22만t 중 절반은 고개를 넘기 전 유구천에, 넘으면 차동천과 신양천을 거쳐 흘러 이 주변도 혜택이 된다는 구상이었다.
사업이 추진되자 시민단체들이 반발했다. 충남환경운동연합 등은 2015년 말부터 잇따라 성명을 내고 “3급수인 금강 물이 섞이면 예당저수지의 생태계가 교란된다”고 정부에 공사 중단을 요구했다. 이듬해 3월 기획재정부에 공익감사 청구도 했다. 반면 지역 농민단체는 “내 팔뚝의 불(농사 못 짓는 것)부터 꺼야 하지 않나. 농민들 목숨줄까지 끊으면 어찌하나” 하고 공사 강행을 요청했다.

충남도 제공
협의회는 보고서에서 “정부의 일방적 사업 추진으로 갈등이 더 커졌다”며 제도 개선과 주민 등과의 충분한 정보 공유를 요구했다. 또 “예당저수지에 유입되는 물은 15%에 그쳐 저수율에 큰 도움이 안 된다”며 정확한 농업용수 사용량 계측 등 6개 항을 요구했다. 여동구 도 주무관은 “유사 사업 재발 방지와 민관 갈등조정협의회 우수 사례로 알리기 위해 관련 중앙부처에 보고서를 배포하겠다”고 했다.
홍성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8-05-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