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억 들였는데…찾는 사람 없는 강화 갯벌센터
김학준 기자
수정 2018-07-23 23:32
입력 2018-07-23 22:22
상주인원 고작 1명…잡초만 무성
실적 위주 전시행정에 애물단지로


강화군 홈페이지
하지만 군은 개관 초창기에만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반짝 의욕’을 보였을 뿐 이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못해 자연스레 찾는 이들이 없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현재 강화군시설관리공단 소속 직원 1명이 상주하며 건물만 관리할 뿐 관련 교육이나 체험 프로그램은 전혀 없고 자체 홈페이지도 없어 사실상 운영이 마비된 상태다. 박모(22)씨는 “단순한 갯벌 관련 전시물 위주여서 볼 것이 없는데 입장료(1500원)는 비싸 괜히 먼 걸음을 했다고 느꼈다. 인근 강화나들길을 걷는 것으로 위안을 삼아야 했다”고 말했다. 평일엔 관람객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센터 주변에는 풀만 잔뜩 우거졌다. 관리인은 “혼자서 입장권을 팔고 동영상을 틀어주는데 관람객이 없어 갯벌센터에 머무르지 않고 주로 제초작업에 매달린다. 강화나들길 탐방객이 갯벌센터 화장실을 이용하려고 가끔 들르면 사람 구경을 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강화나들길 20코스(강화갯벌센터∼동막해변∼분오리돈대) 11.4 ㎞구간에서 화장실이 있는 곳은 강화갯벌센터뿐이다. 게다가 센터 야외에 설치된 각종 철새 조형물은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흉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때문에 강화군이 센터를 관광과 연계한 상품으로 활성화해 지역경제에 기여하도록 하는 노력이 부족했고, 환경에 대한 전문성과 활용 방안도 갖추지 못한 채 “일단 만들어 놓고 보자”는 실적 위주의 행정이 이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화군 관계자는 “예산이 책정되지 않아 대대적인 정비엔 손을 못 쓰지만 센터 앞에 정원을 꾸미고 있고 센터운영위원회에서 계획을 마치는 대로 활성화하려고 준비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8-07-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