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부터 악취 났는데…전주시 늑장 대처에 시민들 ‘분통’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수정 2018-07-24 17:42
입력 2018-07-24 17:34

폭염에 시내 곳곳 가축분뇨·하수구 냄새…민원 들끓자 특별상황실 등 운영 ‘뒷북’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전북 전주시가 악취 민원이 잇따르자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24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효자동과 삼천동 등 아파트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악취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새로 입주를 시작한 송천동 에코시티, 덕진구 혁신동은 물론 중화산동과 서신동까지 시내 전역에서 가축 분뇨와 하수구 악취가 진동하고 있다.

특히 재난 수준의 폭염이 지속되자 전주시 전역으로 악취가 퍼져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는 플래카드를 내거는 등 불쾌감과 대책을 호소하는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

전주시 자체 조사 결과 ▲효자동과 삼천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폐수와 분뇨 악취 ▲서신동은 하수구와 분뇨 악취 ▲송천동 에코시티와 덕진동은 가축 분뇨 악취 ▲혁신동, 장동, 인후동은 가축 분뇨와 퇴비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시민들은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전주시가 수많은 시민들의 고통을 외면하다 악취도시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됐다”며 “악취 발생을 예견하지 못하고 사태를 키운 관계 공무원을 징계하는 등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악취 민원이 잇따르자 전주시가 뒤늦게 대책을 내놨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시는 우선 ▲24시간 악취 민원 콜센터 운영 ▲실시간 악취 관리 특별상황실 운영 ▲악취 다량배출사업장 중점 관리 ▲주민 악취 모니터링단 운영 ▲악취 자동측정기 설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악취 근본 대책인 삼천 음폐수관로 설치와 노후 하수관 정비 등은 예산 확보와 공사 발주 등 절차가 필요해 시민들의 악취 고통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8-07-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