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조선 최장 돌다리 복원 나선다

남인우 기자
수정 2018-10-28 18:12
입력 2018-10-28 18:00
길이 80.85m 남석교, 일제 때 땅에 묻혀
시는 내년 1∼2월 업체를 선정하고 3∼5월 시추 등을 통해 정밀 안전진단에 나선다. 지금까지 시는 지하 접근통로 건설이나 지상 투명창 설치 등 방법으로 남석교 복원사업을 벌였지만 많은 토지 보상비와 지반침하 우려에 반발하는 상인들 때문에 착수조차 못했다.
남석교는 너비 4.10m, 길이 80.85m로 조선시대까지 국내에서 손꼽힐 만큼 긴 청주읍성 남문 밖 돌다리다. 3행 26열로 돌기둥을 세운 뒤 널빤지 형태로 깎은 화강석을 대청마루 놓듯 이어 올려 만들었다. 정월 대보름 때면 건강을 기원하는 답교놀이가 펼쳐졌다. 축조시기는 길게는 기원전 57년부터 신라 진흥왕 이전, 고려시대 등으로 학설이 다양하다. 짧게는 조선 중기 이전이라는 설도 있다.
일제는 1906년 대홍수로 무심천 물길이 바뀌어 남석교 사용빈도가 적어지고 흙이 쌓이자 1932년 제방공사를 하면서 묻어버렸다.
청주시 관계자는 “도시 정비를 내세워 전통 교량을 말살했다는 얘기도 있다. 청주의 정체성과 관광자원 활용을 위해 복원하기로 결정했다”면서 “안전문제가 없으면 복원 사업을 본격화하겠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8-10-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