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화 선언 1년 지났는데 삼척 원전부지 해제 ‘감감’
조한종 기자
수정 2019-02-26 02:08
입력 2019-02-25 22:38
동막·부남리 마을 공사도중 중단
수년째 잡풀만 무성한 황무지로작년에만 세 차례나 약속 불이행
재산권 행사 제한 등 피해 극심
市 “신재생 에너지 거점단지 복안”

25일 강원도와 삼척시에 따르면 정부는 2012년 9월 원전예정구역으로 고시된 삼척 근덕면 부남리 등 지역에 대해 고시를 해제하기로 하고, 지난해 8월과 10월에 이어 연말까지 3차례 약속했지만 이행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다음달까지 해제하는 게 목표라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계획 수립과 각 부처 협조, 자료 취합 등을 거쳐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 결정까지 시간을 감안하면 산업통산자원부가 목표로 하는 3월 고시 해제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산허리 곳곳이 파헤쳐지고 수년째 잡풀들만 무성하다. 바다를 지척에 둔 동막·부남리 마을에는 현재 이사를 못 한 50여가구만이 남아 어렵게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 원전 유치 찬반으로 주민 간 갈등의 골만 깊어졌다.
주민들은 “해안가 마을이다 보니 바람이 자주 불어 황토먼지가 수시로 날아들고, 원전예정구역으로 고시돼 전원개발촉진법으로 묶인 뒤 건축물 신·증축은 엄두도 못 내는 등 불편이 한둘이 아니다”면서 “정부는 희망을 잃어가는 주민들을 언제까지 수수방관만 할 것이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장진용 동막1리 이장은 “원전 고시가 해제되더라도 개인별 보상을 해 줄 수 있는 법제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는 원전 건설 대신 신재생에너지 산업 거점단지를 만들고,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한 수소생산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김양호 삼척시장은 “동막·부남지역과 인접해 동해~남삼척 간 고속도로가 뚫렸고, 포항~고성을 잇는 동해북부선 철길과 태백~삼척을 잇는 복선 철길도 구체화되면서 접근성이 좋아지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적격지로 꼽히는 만큼 하루빨리 원전부지 해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삼척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9-02-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