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맞춤형 도시재생 8곳·주차타워 3곳 조성
이명선 기자
수정 2019-04-09 16:37
입력 2019-04-09 16:31
광명·하안·소하동 3곳에 광명타워… 원도심 내 주차난 해소·주민편의시설 확충
광명시는 추진 중인 너부대마을 도시재생 사업을 비롯해 광명3동과 광명7동 등 뉴타운 해제구역 8곳에 서민주택과 생활편의시설을 확충한다. 총사업비 국·도·시비를 합해 168억원이 투입된다.
도시재생 선도사업으로 너부대마을의 원주민 이주순환주택과 행복주택, 창원지원센터를 건립하기 위해 현재 토지주택공사와 사업자지정을 추진 중이다. 사업비는 향후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을 통해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민·관복합투자방식으로 짓는 광명타워사업은 지방정부 최초로 시도하는 주차복합시설 건설사업이다. 시는 토지만 제공하고 203억원의 공사비 중 시재정이 한 푼도 투입되지 않는다.
심각한 주차난에 대비해 광명동 새마을시장과 하안철골, 소하동 제3노외주차장 3곳에 광명타워가 세워진다. 이 사업은 시가 주차장 부지 3곳을 제공하고, 사업비는 광명도시공사가 민관합동법인(SPC)을 설립해 시행·운영하는 민관 복합개발 방식으로 추진한다. 연면적의 60%는 주차장으로 공급하고 40%는 시민편의시설들로 채워진다. 총사업비 203억원을 들여 주차장과 청년창업 공간, 임대주택, 사회주택, 근린생활시설 등이 공급된다.
연내 공사에 착수해 2021~2022년 완공, 운영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광명타워가 완공되면 주차면수가 211면에서 702개 면으로 3배가량 늘어나 원도심 주차난이 해소되고 편의시설이 확충돼 주민 삶이 개선될 것”이라며 “민관복합개발로 공공예산 투입사업보다 단시일 내 효과적으로 사업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명도시공사는 이달부터 ‘광명타워 출자 타당성 용역’을 시작한다. 이어 세부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민관합동법인을 설립해 2021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