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사업 거점 부상… 새만금은 집들이 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수정 2019-04-11 01:43
입력 2019-04-10 17:52

새만금 산단, 레나인터내셔널 입주 계약…공장 완공 땐 120명 고용창출 효과 예상

테크윈과 투자협약… 자회사 부품 생산도
정부의 클러스터 조성 계획 탄력받을 듯

새만금산업단지에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의 입주가 잇따르고 있다.

10일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기업인 레나인터내셔널과 새만금산업단지 입주계약을 했다. 레나인터내셔널은 태양광 모듈, 태양광 구조물,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만드는 업체다. 지난 9월 새만금개발청과 투자협약에 이어 입주계약을 하고 사업 추진을 본격화했다.

이 업체는 2021년까지 새만금산업단지 2공구(7만 6000㎡)에 555억원을 투자해 관련 제품 생산공장을 건립할 계획이다. 본 공사는 올 상반기 중 시작한다. 공장이 완공되면 12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예상된다.

지난 1월에는 ㈜테크윈과 ㈜테크윈에너지가 투자협약을 맺었다. 테크윈은 1999년 LG화학에서 분사해 환경설비와 에너지사업을 추진하는 강소기업이다. 최근 3년 연평균 30% 이상 매출이 신장했다.

테크윈의 자회사인 테크윈에너지는 2023년까지 새만금산단 2공구 2만㎡에 125억원을 투자해 수상태양광 발전설비 핵심부품인 부유체와 부속자재를 통합 생산할 예정이다.새만금개발청은 현재 테크윈에너지와 막바지 입주계약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3월엔 ㈜네모이엔지가 재생에너지 관련 공장을 착공했다.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새만금 산단에 입주하는 것은 정부가 새만금지구에 세계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추진하자 이를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을 집적화해 새만금을 미래 신산업의 전략적 거점으로 육성하려는 정부 계획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현숙 청장은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유망 기업을 집적화해 새만금을 신산업 거점으로 만들 것”이라며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투자환경도 개선해 기업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1일부터 국내 기업에도 싼값에 산업단지를 제공하는 ‘새만금산단 임대용지 운영지침’을 시행하고 있다.



산단 임대료를 국내기업에도 외국인투자기업과 같이 1%로 인하했다. 투자금액 대비 임대용지 제공 면적도 50%에서 70%로 확대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9-04-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