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버스까지 결제하고 편리” 1석3조 김포페이
이명선 기자
수정 2019-07-29 10:13
입력 2019-07-29 10:13
블록체인 기반 승인즉시 환전되고 타지역과도 연동가능

29일 김포시에 따르면 김포페이의 차별화된 장점은 처음 카드 신청시 교통카드 기능을 신청하면 교통카드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타 지자체 지역화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기능이다.
여기에 스마트폰의 삼성페이 어플에도 등록이 가능해 실물 카드 없이 스마트폰만으로도 지역화폐와 버스카드 활용할 수 있다. 편리성까지 더해 1석3조 효과다.
카드 이용을 원하지 않으면, 모바일(QR코드 결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다른 지역을 선택할 경우 즉시 타 지역화폐 사용이 가능하고, 향후 제로페이와의 연동 가능 등 확장성을 높인 것도 김포페이만의 특징이다.
가맹점들을 위한 정책도 눈길을 끈다.

시스템을 살펴보면 가맹점에서 김포페이로 결제될 경우 대금은 시에서 운영하는 통합계좌에 보관되고, 가맹점은 이 계좌를 통해 즉시 환전받을 수 있다. 카드형이 아닌 모바일 결제시 가맹점에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 점도 소상공인 정책에 있어 김포시의 세심함이 돋보인다.
이러한 김포페이 장점으로 출시 후 단기간에 이용자와 가맹점을 확보하게 됐다.
당초 5000개 가맹점을 목표로 했던 김포페이는 본격 운영을 시작한 지난 4월 18일 이후 26일 현재 5696개 가맹점을 확보했다. 이는 김포시 전체 등록된 1만 4050개 매장의 3분의1을 크게 웃돈다.
발행액도 110억원을 목표로 했으나 같은 기간 89억원을 발행해 조만간 목표액을 달성할 전망이다.
김포페이 이용자도 지난 26일 기준 3만 7924명으로, 지역화폐 신청 가능 연령인 만 14세 이상 인구 36만 653명의 10분의1에 달한다.
정하영 시장은 “김포페이의 가장 큰 장점은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에게 득이 되는 혜택과 편의성으로 지역 경제 전체의 선순환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이라면서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해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