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새우깡으로…한시름 던 ‘군산 꽃새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수정 2019-07-31 01:42
입력 2019-07-30 22:26

농심 “어민께 송구” 미국산 대체 백지화…전북도·市 품질 보증 약속에 재수매 결정

이미지 확대
전북 군산지역 꽃새우잡이 어민들의 반발<서울신문 7월 30일자 14면>을 불러일으킨 새우깡 원료 전량 미국산 대체 계획을 농심이 백지화하면서 갈등이 봉합됐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서해에서 잡은 군산 꽃새우의 품질을 지자체가 보장하는 대신 농심이 재수매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서해산 꽃새우가 새우깡 원료로 계속 납품될 수 있게 됐다고 30일 밝혔다.

전북도와 군산시, 농심은 이날 오후 협의 끝에 이물질이 없는 꽃새우 납품에 대해 약속했다.

지자체의 품질 보증 약속에 ‘새우깡 원료 전량 미국산 대체’를 고집하던 농심은 ‘군산 꽃새우 재구매’로 기존의 방침을 철회했다. 그러나 새우깡 원료로 국산 꽃새우만 사용할지, 미국산과 함께 사용할지, 구매 물량 등에 대해서는 내부 검토 중이다.

농심 관계자는 “전북도와 군산시가 확실한 품질의 꽃새우를 납품하기로 약속한 만큼 올해 군산 꽃새우 물량을 사들이기로 했다”고 확인했다.

특히 농심 측은 “서해가 오염돼 꽃새우를 납품받지 않기로 했다는 것은 오해”라며 “논란을 야기해 서해 어민들께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농심은 서해에서 잡힌 꽃새우로 30여년 동안 새우깡을 생산하다가 3년 전부터 국내산 50%, 미국산 50%씩을 사용해 왔으나 올해는 품질 문제를 제기하며 군산 꽃새우를 납품받지 않았다.



이 바람에 군산 꽃새우 가격이 폭락해 어민들이 판로와 대책을 요구하며 집단 반발했다. 실제로 군산 꽃새우는 1상자(14~15㎏)에 9만원을 넘었으나 농심이 납품을 거부하면서 최근 위판가격이 2만 7000원까지 폭락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9-07-3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