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일본 정부 수출규제 철회 촉구 규탄대회
이명선 기자
수정 2019-08-06 11:54
입력 2019-08-06 11:53
피해업체 전수 조사후 지원방안 강구하고 일제 불매운동 참여
박승원 시장은 “한국의 주력산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산업 핵심소재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와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한 조치는 무역질서를 어지럽히는 일방적인 경제보복 행위”라며 “피해가 부메랑이 돼 일본 자신에게로 돌아갈 것”이라고 규탄했다.
시는 지난 7월 18일 청소년 국제교류 일본 방문을 취소한 바 있다. 앞으로 일본과 교류를 전면 중단할 계획이다. 또 광명시 1000여명 공직자들은 ‘NO 재팬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일본여행을 자제하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지난 5일 열린 간부회의에서 일본의 백색국가 지정 취소 이후 지역 내 피해 기업체를 전수 조사해 지원 대책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광명상공회의소를 비롯한 모든 기업체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강화시켜갈 예정이다.
시는 일재 잔재 청산을 위해 공문서 작성 시 일본식 한자어 표현을 순화해 사용하고 일본식 지명 변경과 일본식 한자어가 포함된 조례·규칙 일괄 개정, 일본식 회계용어 개정, 생활 속 일본식 표현 사용 자제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시청 물품 구매와 공사 시 일본제품 구매도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오는 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일본의 일방적인 경제보복 행위에 대해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갖기로 했다.
결의문에는 “일본의 후안무치한 경제보복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정당하게 배상하며, 식민침탈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또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라는 ‘NO JAPAN, NO 아베 운동’ 슬로건과 “이번 무역왜란에서는 기필코 승리하겠다는 결의를 모아 반드시 이깁니다”라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박 시장은 “일본의 비인도적인 경제보복이 철회될 때까지 32만 광명시민과 1천여 공직자들이 함께 경제침략에 맞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