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된 도시재생 거버넌스 운영” 광명시, 도시재생뉴딜 우수 지자체 뽑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명선 기자
수정 2019-10-30 15:19
입력 2019-10-30 14:47

2019 도시재생 한마당 제5차 도시재생 광역협치포럼서

이미지 확대
박승원(왼쪽서 두 번째) 광명시장이 새터로 65-1에서 ‘새터마을 도시재생 옥상 간담회’를 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박승원(왼쪽서 두 번째) 광명시장이 새터로 65-1에서 ‘새터마을 도시재생 옥상 간담회’를 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경기 광명시가 도시재생협치포럼에서 ‘도시재생뉴딜 우수 지자체상’을 수상했다.

광명시는 전남 순천에서 개최된 ‘2019 도시재생 한마당 제5차 도시재생 광역협치포럼에서 도시재생뉴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도시재생협치포럼이 주최하고 국토교통부 등이 후원했다.

시는 2017년 선정된 너부대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지난해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으로 선정된 광명3동 골목숲 사업, 새터마을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개소 등을 통해 도시재생 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너부대 도시재생 사업은 지난 2017년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으로 선정됐다. 사업 대상지인 광명동 776-16일대는 저지대 상습 침수구역으로 60가구의 무허가 가옥이 밀집한 지역이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습침수구역의 노후주택을 정비해 저렴한 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생활형SOC 공급으로 주거복지와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의 목적에 부합되는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사업은 오는 12월부터 2023년까지 약 4년간 진행된다. 우선 1단계 사업으로 거주민의 둥지 내몰림을 방지하기 위해 광명시 소유 부지에 국민임대주택 70가구를 2021년까지 순환이주주택으로 공급한다.

시는 이미 도시재생 총괄기획단을 만들어 한국토지주택연구원 황희연 원장을 도시재생 조정관으로 위촉했다. 지난 7월 19일 광명동굴에서 “도시재생, 협치를 말하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운영하고 있다는 평가다.



도시재생 협치포럼은 국토교통부를 비롯한 5개 중앙부처와 68개 지방자치단체 및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도시재생의 모든 주체가 함께 참여하는 대한민국 최고 ‘협치기관’이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