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8호선 승객 전년 대비 8% 감소
의료·방역 기관은 차량 2부제 일시 해제

#2. 직장인 이모(47)씨는 요즘 서울 양천구 집에서 중구 직장까지 자가용으로 출퇴근한다. 주중엔 차가 너무 막혀 출퇴근 땐 전철을 이용하는 게 철칙이었는데 신종 코로나 탓에 출퇴근 패턴을 바꿨다. 출근 때 전철로는 40분이면 충분한데 자가용을 이용하면 1시간이 넘게 걸려 답답하지만 안전을 위한 선택이었다. 이씨는 “공기 중 전파하는 ‘에어로졸’ 가능성도 제기돼 지하철처럼 사람들로 가득한 닫힌 공간은 피하려 한다”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시민들 일상을 바꾸고 있다. 사람들이 모이는 밀폐 공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면서 대중교통 기피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11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5일 수요일부터 9일 일요일까지 지하철 1~8호선 승객 수는 2883만 6305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인 2월 6일 수요일부터 10일 일요일까지 3323만 2625명보다 439만 6320명 줄었다. 공사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가 확산하면서 전년 대비 일 평균 약 8%의 승객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22개 노선 중 11개를 운영하는 ㈜공항리무진이 운행 횟수를 하루 762회에서 687회로 75회 감축하는 것을 승인했다. 나머지 노선을 운행하는 서울공항리무진㈜, 한국도심공항, 항공종합서비스 등 3개 사의 상황도 확인해 적자 운영이 장기화할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로 운행 횟수를 줄여 줄 계획이다.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공공기관 차량 2부제’도 특정 기관에 한해 일시 중단됐다. 환경부가 지난 3일 의료·방역 분야에 한해 차량 2부제 일시 해제를 통지한 데 따른 조치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6일부터 관용차를 포함해 총 115대에 적용한 2부제를 한시적으로 중단했고, 서울 25개 자치구 보건소도 2부제 적용에서 제외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20-02-1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