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명, 전화 피하거나 ‘허위 기재’
거부 땐 벌금 200만원… 확진 86명

오장환 기자 5zzzang@seoul.co.kr
박원순 서울시장은 11일 “황금연휴 기간 이전인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5일까지 킹클럽, 퀸, 트렁크, 소호, 힘 등 이태원 클럽 방문자 명단 총 5517명 중에서 2405명은 통화가 됐지만 3112명은 불통 상태다. 이는 일부러 전화를 피하거나 허위로 (명단을) 기재했다는 것”이라면서 “이분들에 대해 즉각 검사 이행 명령을 내린다”고 밝혔다.
적극적인 검사를 위해 익명성도 보장한다. 그는 “신분 노출 우려가 있어서 (검사를) 망설이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전혀 걱정할 게 없다. 신변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서울시는 선제적으로 익명 검사를 실시한다”고 말했다. 현재 연락이 닿은 2405명 중 서울 지역 거주자는 1205명, 서울 외 지역은 1200명이다.
서울시민만 명령 대상이 아니다. 방역 당국도 이태원 클럽 방문자를 비롯해 감염 추정자가 고의로 방역 당국의 전화를 받지 않으면 감염병 예방법에 따라 처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감염병 예방법에 따르면 역학조사를 거부하거나 허위로 정보를 제공할 때는 처벌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확진환자나 특정 집단에 대한 비난과 혐오가 일부 나타나고 있다”면서 “개인정보를 엄격히 보호하고 존중할 테니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6일 사이 이태원 지역 방문자는 증상이 없더라도 반드시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기준 이태원 클럽 관련 확진환자는 전국에서 전날보다 32명 늘어난 86명으로 집계됐다. 서울(51명), 20대(58명), 남성(78명)에게서 많이 발생했으며, 30명이 무증상이었다.
한편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기존의 이태원 클럽 5곳 외에 새로운 클럽 방문자 중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서대문구 21번 환자인 20대 남성이 지난 2일 이태원의 ‘메이드’ 클럽을 방문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태원 클럽발 대량 전파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ckpark@seoul.co.kr
2020-05-1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