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왜 이러나… 인천 수돗물서 발견된 유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0-07-15 01:11
입력 2020-07-14 22:30
이미지 확대
대체 왜 이러나… 인천 수돗물서 발견된 유충
대체 왜 이러나… 인천 수돗물서 발견된 유충 지난해 5월 ‘붉은 수돗물’ 사태로 큰 피해를 본 인천 서구 일대 수돗물에서 ‘깔따구류’의 일종인 유충이 잇따라 발견돼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유충 발견 신고는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23건이 접수됐다. 인천시는 깔따구류가 유해하진 않지만 맨눈으로 확인된 만큼 유충 발견 신고 지역인 왕길동·당하동·원당동·마전동 등 약 3만 6000가구에 수돗물을 생활용수로는 사용하되 직접 마시는 것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지역 어린이집·유치원·학교에는 생수 등을 사용해 급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정수장의 ‘활성탄 여과지’에서 발생한 유충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5월 ‘붉은 수돗물’ 사태로 큰 피해를 본 인천 서구 일대 수돗물에서 ‘깔따구류’의 일종인 유충이 잇따라 발견돼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유충 발견 신고는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23건이 접수됐다. 인천시는 깔따구류가 유해하진 않지만 맨눈으로 확인된 만큼 유충 발견 신고 지역인 왕길동·당하동·원당동·마전동 등 약 3만 6000가구에 수돗물을 생활용수로는 사용하되 직접 마시는 것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지역 어린이집·유치원·학교에는 생수 등을 사용해 급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정수장의 ‘활성탄 여과지’에서 발생한 유충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2020-07-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