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오징어 대풍인데… ‘울상’ 짓는 울릉도

김상화 기자
수정 2020-10-11 10:06
입력 2020-10-08 20:58
태풍이 바닷물 뒤섞으며 큰 어군 형성
9월 위판량 97t… 작년보다 4배 증가
관광객 급감에 가격은 20% 떨어져
울릉군 제공
최근 울릉도·독도 연안 어장에 오징어군이 폭넓게 형성되면서 가을철 오징어잡이가 모처럼 풍어를 맞았으나 정작 지역 분위기는 어둡다. 코로나19로 소비가 줄면서 오징어 재고가 쌓이면서 가격이 20% 폭락했기 때문이다.
8일 울릉수협에 따르면 지난 9월부터 오랜만에 오징어 생산량이 늘면서 같은 달 위판량이 97t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3t보다 4.2배 증가한 것이며 2017년과 2018년 동기 5t, 16t보다는 최대 20배 가까이 많은 것이다.
이성용 울릉수협 상무는 “수년 전부터 계속되던 오징어 흉어가 지난달부터 오랜만에 풍어를 맞고 있다”면서 “1개월간 100t에 가까운 오징어가 위판되기는 7~8년 만에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초 울릉도·독도에 큰 피해를 준 두 차례 태풍이 해역의 바닷물을 뒤섞어 놓으면서 어군이 대폭 형성된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울릉지역 분위기는 그리 밝지 않다. 올 들어 코로나19로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특산물인 오징어 소비가 크게 위축되는 등 재고량이 갈수록 쌓여 가는 데다 제값 받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위판 가격은 물오징어 특품 1축(20마리, 8㎏ 이상) 기준 6만~7만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20% 정도 낮은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다. 또 지난달 말 기준 울릉도 마른오징어 재고량은 93t에 이른다.
그렇다고 예전처럼 비축 오징어를 정부가 수매해 줄 것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도 없다. 지난해부터 수산물 정부비축 사업 대상에서 울릉도 마른오징어가 제외됐기 때문이다.
울릉군 관계자는 “오랜만에 오징어가 많이 잡히는 것을 마냥 즐거워할 것만은 아니다”라면서 “울릉도 오징어의 가격 정상화와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해 오징어 팔아주기 운동 전개와 함께 정부가 비축된 오징어를 조기에 수매해 줄 것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 9월까지 울릉지역 관광객은 14만 4266명으로 지난해 동기 33만 3727명의 43.2%에 그치고 있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20-10-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