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로서 직업적 소명 다할 수 있어 잘한 선택”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수정 2021-04-16 02:52
입력 2021-04-15 17:42

유혜수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장

“특수진료 관련 의사 지원 많았으면”
이미지 확대
유혜수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장
유혜수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장
“의사로서 직업적 소명을 다할 수 있다는 점이 공공의료기관에서 일하는 가장 큰 장점입니다.”

2016년 3월부터 서울시 어린이병원에서 일하는 유혜수 소아청소년과장은 공공의사가 된 게 만족스럽다고 말한다. 그는 15일 “5년 전 대학병원을 나와 공공의사가 되겠다고 결심한 가장 큰 이유는 내가 가진 의술로 누군가를 돕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라면서 “지난 5년간 바쁜 나날을 보냈지만 정말 잘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어린이병원은 약 200병상 규모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입원 환자를 받지 않으면서 현재 165명이다. 유 과장은 “이곳에 오는 어린이들 대부분이 중증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무연고 행려 환자인 경우가 많다”면서 “상태가 급격하게 호전되는 경우는 잘 없지만, 이들이 큰 탈 없이 하루를 보내게 돕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최근 서울시가 공공의사 처우를 개선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유 과장은 “좀더 많은 의사들이 공공의사를 지원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면서 “특히 공공의료현장에서는 영상의학과 등 특수진료 관련 의사가 부족한데 이번에 지원이 많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채용에선 30·40대의 비교적 젊은 의사들이 많이 지원했다”면서 “민간병원보다 급여는 적지만 치료하는 데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의사라는 직업의 가치를 추구하는 이들에게는 좋은 기회다”고 덧붙였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21-04-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