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이천~여주 GTX 연결, 경제적 타당성 있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수정 2021-06-08 11:40
입력 2021-06-07 18:02

김시곤 서울과기대 교수 타당성조사 중간 발표

이미지 확대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7일 광주~이천~여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예비타당성조사 중간발표에서 광역교통수요 증가에 따른 교통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승용차 중심의 도로교통체계에서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철도의 통행시간이 승용차보다 최소 30분 이상 빨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GTX 노선 현황과 GTX-D 노선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GTX-A 노선 수서역에서 분기시켜 수서~광주선을 거쳐 경강선 접속 안(노선대안 1)과 당초 GTX-D 노선 종점인 하남시청역에서 노선을 연장해 광주시를 거쳐 경강선에 접속하는 안(대안 2), 당초 GTX-D 노선 사당역에서 분기해 수서역까지 노선을 신설하고 수서~광주선을 거쳐 경강선에 접속하는 방안(대안 3) 등 3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3가지 노선 대안에 대한 경제성 분석 결과 대안 1, 대안 3은 비용대비편익(BC)이 1 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됐고, 특히 대안 1의 BC가 1.19로 대안 3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대안 2는 0.92였다.

그는 세 가지 노선 대안의 교통수요 예측 결과 대안 1의 경우 1일 총승차 수요는 6만 5148명(수서~여주 구간), 대안 2는 47만 5633명(김포~여주), 대안 3은 40만 1863명(김포~여주)으로 예측돼 대안 2의 수요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는 또 이들 노선의 총사업비와 연간 운영비를 산정한 결과 대안 1의 경우 1조 353억원과 261억원, 대안 2는 7조 3547억원과 1692억원, 대안 3은 5조 4457억원과 1048억원으로 분석됐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2021-06-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